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스닥

티케이케미칼 주가전망 (104480) : 화학섬유 관련주(21.12.16업뎃)

by 비앤피 2021. 12. 16.
728x90
반응형
SMALL

목차

 

홈페이지

티케이케미칼 홈페이지

 

티케이케미칼

대한민국 생활 화학의 100년을 함께 만들어 갈 국가 대표 화학 소재 기업, TK케미칼

www.tkchemi.co.kr

 

기업소개

당사는 2007년 합성섬유 및 관련 화학제품을 제조 가공 판매, 도소매 및 수출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8년 동국무역㈜의 화학사업부문을 영업 양수 받아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분야로는 화학부문(합성섬유의 제조 및 판매)과 건설부문(주택건설 및 시공) 그리고 전자부문(터치스크린 제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학부문은 기존 목화나 양모 등의 천연섬유가 담당했던 의류 부분을 화학섬유가 대체하였고, 유리 등의 광물소재가 담당했던 음료용기/식재료 용기 부문에서 플라스틱용기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분야가 넓어지고 있으며 아웃도어,래쉬가드, 마스크, 레깅스 등 꾸준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건설부문은 여타 다른 산업에 비해 생산 및 고용, 부가가치의 창출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국가 경제의 전략적인 산업이기도 합니다. 특히 고객이 평안하게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모든 부분을 고려하고 트렌드 변화에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자부문은 주요 제품이 터치스크린으로 국내 주요 전자제품 업체인 삼성전자, LG전자 등에 공급되며, 디스플레이 산업시장(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자동차, 냉장고 등)에서 수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등의 매출

***가동률

***매출실적

▲맨위로▲

주주에 관한 사항

 

▲맨위로▲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7890억원, 2019년 6208억원, 2020년 4293억원, 2021년 1,2,3분기 473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48.2%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1102억원, 2021년 1분기 1268억원, 2분기 1610억원, 3분기 1852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545억원, 2019년 96억원, 2020년 -208억원, 2021년 1,2,3분기 38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12억원, 2021년 1분기 75억원, 2분기 157억원, 3분기 152억원입니다.

▲맨위로▲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6832억원, 2019년 6802억원, 2020년 6789억원, 2021년 1,2,3분기 10714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 2018년 4236억원, 2019년 4085억원, 2020년 4117억원, 2021년 1,2,3분기 505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 2018년 2596억원, 2019년 2717억원, 2020년 2672억원, 2021년 1,2,3분기 5659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맨위로▲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78억원, 2019년 2억원, 2020년 142억원, 2021년 1,2,3분기 289억원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96억원, 2019년 -290억원, 2020년 181억원, 2021년 1,2,3분기 -323억원으로 2020년을 제외하고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53억원, 2019년 286억원, 2020년 -247억원, 2021년 1,2,3분기 6억원으로 2018년과 2020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019년과 2021년 3분기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맨위로▲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95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49억원, 2019년 126억원, 2020년 55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129억원, 2019년 -123억원, 2020년 87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5%, 2017년 약 5%, 2018년 약 9%, 2019년 약 6%, 2020년 약 2%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1%, 2017년 약 1%, 2018년 약 6%, 2019년 약 1%, 2020년 약 -4%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3%, 2017년 약 8%, 2018년 약 11%, 2020년 약 -0.5%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1%, 2017년 약 3%, 2018년 약 4%, 2020년 약 -0.2%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6832억원, 2019년 약 6802억원, 2020년 약 678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2%, 2020년 약 0.63%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524억원, 2019년 약 550억원, 2020년 약 43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4%, 2020년 약 8%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1538억원, 2019년 약 1063억원, 2020년 약 116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6%, 2020년 약 3%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42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94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45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90일로 현금운영입니다.

▲맨위로▲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163%, 2019년 약 150%, 2020년 약 154%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높아 부채비율이 다소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25%, 2019년 약 33%, 2020년 약 25%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439%, 2019년 약 459%, 2020년 약 452%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낮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지 않습니다.

  ▲맨위로▲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10,000원입니다.

 

▲맨위로▲

매매포인트

티케이케미칼의 주가는 21년 3월에 반등하여 21년 최고 7월에 8,950원을 찍고 조정을 받았습니다.

매수적정가는 5,5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2월 16일)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티케이케미칼 5,910원 6,205원 5,990원 5,642원

▲맨위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