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홈페이지
기업소개
당사는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용 모터 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ASIC/SoC 형태로 모션제어 칩(Chip)화하고, 이들 칩을 사용하여 산업자동화 현장의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모션제어 모듈, 모션제어 시스템, 로봇제어기 제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하는 범용 모션제어 부품 전문기업입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반도체 장비, 스마트폰 장비, 이차전지 장비 등 다양한 제조/검사 자동화 장비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인 부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국책과제를 통해 준비 중이던 물품이송로봇(AGV : Automated Guided Vehicle)과 중국 합작법인 설립에 따라 추진 중이던 Smart Health 기구사업, 로봇제어기 공동개발을 통한 OEM 생산 등 새로운 사업 분야에 진출을 준비함으로써 미래 성장동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시대상기간의 매출은 전년 동기(2020년 3분기) 대비 약85% 증가하였으며 이는 반도체, 휴대폰 등 주요 전방산업 설비투자 증대로 인한 것입니다. 반도체/이동통신 등 주력인 모션제어 분야 매출 증대뿐만 아니라 신규 전방산업 분야인 이차전지 분야 매출도 일어나고 있으며, 로봇 관련 매출도 꾸준히 증대하고 있습니다. MCU 부품 Global Shortage로 인하여 일부 부품의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조금씩 안정화 추세에 있으며 내년 상반기에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산을 위한 사업장을 구미지역에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늘어난 주문과 신규사업 대응을 위해 구미 2사업장을 마련하여 생산라인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변화 및 신규사업 대응에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개발활동은 시장 확대를 위한 High-end 모션 제어기술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field test 중에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있어 핵심역할을 담당할 물품이송용로봇(AGV), XR 글라스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의 GMC 제품들로는, 모션제어 칩, 모션제어 모듈, 모션제어 시스템이 있습니다. 최신 기술 동향의 제품인 분산형 기반 제품으로 Ethernet/IP, RTEX, Mechatrolink, SSCNET 제품 등이 있으며, RMC 제품으로 범용 로봇제어장치이 있습니다. 아래표에서 제품 구분에 따른 제품군, 사업내용, 제품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266억원, 2019년 206억원, 2020년 227억원, 2021년 1,2,3분기 30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85.3%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62억원, 2021년 1분기 97억원, 2분기 112억원, 3분기 96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50억원, 2019년 20억원, 2020년 7억원, 2021년 1,2,3분기 5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49.3%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14억원, 2021년 1분기 18억원, 2분기 18억원, 3분기 14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467억원, 2019년 482억원, 2020년 483억원, 2021년 1,2,3분기 505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33억원, 2019년 48억원, 2020년 52억원, 2021년 1,2,3분기 64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434억원, 2019년 434억원, 2020년 432억원, 2021년 1,2,3분기 441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71억원, 2019년 35억원, 2020년 44억원, 2021년 1,2,3분기 21억원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66억원, 2019년 -25억원, 2020년 38억원, 2021년 1,2,3분기 -3억원으로 2020년을 제외하고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6억원, 2019년 -24억원, 2020년 -7억원, 2021년 1,2,3분기 -39억원으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1.77로 평균(1)보다 높아 시장민감도가 높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23억원, 2019년 5억원, 2020년 2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48억원, 2019년 30억원, 2020년 42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48%, 2017년 약 52%, 2018년 약 54%, 2019년 약 54%, 2020년 약 48%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5%, 2017년 약 25%, 2018년 약 18%, 2019년 약 9%, 2020년 약 2%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4%, 2017년 약 18%, 2018년 약 10%, 2019년 약 5%, 2020년 약 2%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3%, 2017년 약 14%, 2018년 약 9%, 2019년 약 5%, 2020년 약 2%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DPS(Dividend Per Share의 약자, 총배당금을 총주식발생수로 나눈 것, 한 주당 얼만큼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DPS가 높을 수록 배당금이 많은 것임) : 2016년 134원, 2017년 168원, 2018년 134원, 2019년 67원, 2020년 100원으로 전년동기 증가하였습니다.
현금배당수익률(최근1년간 배당금 합계를 전일 보통주 주가로 나눈값) : 2016년 2.61배, 2017년 1.86배, 2018년 2.6배, 2019년 1.31배, 2020년 1.65배으로 전년동기 증가하였습니다.
현금배당성향(기업이 버는 돈에 비하여 배당을 지급하는 백분율, 총배당금/당기순이익/100) : 2016년 95%, 2017년 26%, 2018년 29%, 2019년 26%, 2020년 74%으로 전년동기 증가하였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467억원, 2019년 약 481억원, 2020년 약 483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57%, 2019년 약 0.43%, 2020년 약 0.47%로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74억원, 2019년 약 71억원, 2020년 약 4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3%, 2019년 약 2%, 2020년 약 3%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77억원, 2019년 약 79억원, 2020년 약 66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3%, 2019년 약 2%, 2020년 약 3%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97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117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30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185일로 현금운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7%, 2019년 약 11%, 2020년 약 11%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611%, 2019년 약 519%, 2020년 약 530%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1218%, 2019년 약 1245%, 2020년 약 779%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낮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지 않습니다.
차트 및 총평
매매포인트
아진엑스텍의 주가는 21년 6월 급등하여 8월 최고 13,700원을 찍고 조정을 받았습니다.
매수적정가는 95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2월 17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아진엑스텍 | 10,500원 | 10,010원 | 9,573원 | 10,016원 |
'주식 >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테스트 주가전망 (086390) : 태양광에너지, 반도체 장비, 3D낸드 관련주(21.12.21업뎃) (1) | 2021.12.21 |
---|---|
에스엠코어 주가전망 (007820) : 스마트팩토리 관련주(21.12.18업뎃) (4) | 2021.12.18 |
티케이케미칼 주가전망 (104480) : 화학섬유 관련주(21.12.16업뎃) (4) | 2021.12.16 |
미코 주가전망 (059090) : 반도체 재료, 수소차, 코로나19 관련주(21.12.15업뎃) (0) | 2021.12.15 |
아이원스 주가전망 (114810) : OLED, LCD, 반도체재료 관련주(21.12.15업뎃)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