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유가증권시장

한국콜마 주가전망 (161890) : 화장품 관련주

by 비앤피 2021. 10. 13.
728x90
반응형
SMALL

목차

 

홈페이지

한국콜마 홈페이지

 

한국콜마

ESG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해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한다는 굳은 신념을 바탕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합니다. view more

www.kolmar.co.kr

 

기업소개

당사는 2012년 10월 2일에 (구)한국콜마주식회사로부터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화장품 ODM, 전문의약품 및 HB&B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특히 화장품 업계 최초로 국내에 ODM 방식을 정착시키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로 업계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역별로 보면 국내에는 세종특별자치시(세종,전의,전동), 경기도 부천시, 서울시 서초구(종합기술원), 에이치케이이노엔(오송,이천,대소공장) 등 국내 8개 사업장을 운영중이며, 해외에는 중국(북경, 무석), 미국, 캐나다, 베트남 등 5개 법인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한국콜마 및 해외 자회사(중국 북경, 중국 무석, 미국, 캐나다)는 화장품 ODM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이치케이이노엔 주식회사와 베트남 법인은전문의약품과 HB&B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기준 화장품 ODM 사업의 매출 비중은 54%이고, 전문의약품 및 HB&B 사업의 매출 비중은 46% 입니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매출실적

▲맨위로▲

주주에 관한 사항

 

▲맨위로▲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13,579억원, 2019년 13,789억원으로 증가, 2020년 13,221억원으로 감소, 2021년 1,2분기 808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는 전년동기대비 23.3%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3176억원, 4분기 3489억원, 2021년 1분기 3953억원, 2분기 4128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900억원, 2019년 998억원, 2020년 1217억원으로 증가, 2021년 1,2분기 45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189억원, 4분기 520억원, 2021년 1분기 242억원, 2분기 213억원입니다.

 

▲맨위로▲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21,864억원, 2019년 24,003억원, 2020년 24,896억원, 2021년 1,2분기 24,292억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부채 2018년 13,766억원, 2019년 15,524억원, 2020년 14,904억원, 2021년 1,2분기 14,112억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자본 2018년 8098억원, 2019년 8479억원, 2020년 9992억원, 2021년 1,2분기 10,179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높아 재정건전성이 불안정적입니다.

▲맨위로▲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628억원, 2019년 1648억원, 2020년 1215억원, 2021년 1,2분기 -260억원으로 2018년~2020녀까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2,932억원, 2019년 -1507억원, 2020년 2457억원, 2021년 1,2분기 -1288억원으로 2020년을 제외하고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2937억원, 2019년 277억원, 2020년 -1095억원, 2021년 1,2분기 -766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 2020년과 2021년 2분기까지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맨위로▲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58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792억원, 2019년 737억원, 2020년 1192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2021년은 57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164억원, 2019년 912억원, 2020년 23억원으로 2019년이후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2021년은 471억원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23%, 2017년 약 21%, 2018년 약 26%, 2019년 약 28%, 2020년 약 32%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11%, 2017년 약 8%, 2018년 약 6%, 2019년 약 7%, 2020년 약 9%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21%, 2017년 약 16%, 2018년 약 11%, 2019년 약 6%, 2020년 약 29%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높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12%, 2017년 약 8%, 2018년 약 2%, 2019년 약 1%, 2020년 약 6%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DPS(Dividend Per Share의 약자, 총배당금을 총주식발생수로 나눈 것, 한 주당 얼만큼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DPS가 높을 수록 배당금이 많은 것임) : 2016년  250원, 2017년 300원, 2018년 330원, 2019년 330원, 2020년 345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현금배당수익률(최근1년간 배당금 합계를 전일 보통주 주가로 나눈값) : 2016년 0.38배, 2017년 0.37배, 2018년 0.47배, 2019년 0.7배, 2020년 0.68배으로 전년동기 감소하였습니다.

현금배당성향(기업이 버는 돈에 비하여 배당을 지급하는 백분율, 총배당금/당기순이익/100) : 2016년 9%, 2017년 13%, 2018년 17%, 2019년 25%, 2020년 4%으로 전년동기 감소하였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21864억원, 2019년 약 24003억원, 2020년 약 24896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95%, 2019년 약 0.6%, 2020년 약 0.54%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1996억원, 2019년 약 2238억원, 2020년 약 183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7%, 2019년 약 6%, 2020년 약 6%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1768억원, 2019년 약 1606억원, 2020년 약 1485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9%, 2019년 약 8%, 2020년 약 8%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56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42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29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69일입니다.

▲맨위로▲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169%, 2019년 약 183%, 2020년 약 149%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높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73%, 2019년 약 53%, 2020년 약 90%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3839%, 2019년 약 4022%, 2020년 약 5337%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주가(ROE x EPS) =   8.62x  2440원으로, 적정주가의 가격은 21,000원으로 평가됩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시총(ROE x 영업이익) =  8.62x 1059억원으로, 그 합산은 9128억원입니다. 적정주가 대비 약 10% 고평가입니다.

  ▲맨위로▲

차트 및 총평

한국콜마의 2021년 영업이익은 1059억원으로 추정됩니다. 현재(21.10.13) 시가총액은 1조 182억원으로 멀티플 9.6입니다.

목표주가는  60,000원입니다.

▲맨위로▲

매매포인트

한국콜마는 20년 12월 주가가 반등하여 21년 6월 최고 62,800원을 찍고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매수적정가는 45,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0월 13일)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한국콜마 44,500원 49,837원 49,039원 50,240원

▲맨위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