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홈페이지
신성이엔지
CORPORATE ETHICS윤리경영 신성이엔지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윤리경영을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여 투명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인 업무수행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www.shinsungeng.com
기업소개
당사는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클린환경 사업부문,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각 사업부문에 대한 요약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클린환경 사업부문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클린룸 사업은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이와 관련한 소재 및 제품 등의 제조공간에 공기청정도를 제어하는 장비를 생산, 설치하는 사업으로, 클린룸 전체 설비 중에서 공기정화설비에 관련된 사업이며, 일반 빌딩 및 공장에 대한 공조 장비 제조 및 설치공사, 이차전지 생산시설의 드라이룸 설치 공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일상의 대기환경 개선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장비도 개발하였습니다. 일상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제품인 퓨어루미(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퓨어게이트(공동주택용 에어샤워), 퓨어클로젯(드레스룸 의류 보관 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판매중에 있습니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19' 펜데믹이라는 특수성으로 신성이엔지의 기술력이 주목받는 해 였습니다. 클린룸 내재기술을 활용한 이동형 스마트 음압병실, 양ㆍ음압기 등을 개발하여 의료환경 개선과 방역에 힘을 보탰습니다. 2021년에는 카이스트와 함께 이동형 음압병동(MCM)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고급 의료 설비를 갖춘 음압 격리 시설로 신속하게 변형하거나 개조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부족한 병상 확보에 도움을 보탰습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7개 국가에 해외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인도네시아법인과 폴란드법인을 신규로 설립하여 매출처 다각화와 매출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고객사의 이차전지 관련 생산시설이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에 건설됨에 따라 이차전지 드라이룸 해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재생에너지 사업부문
당사의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은 태양광모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 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증가, 한국형 뉴딜정책 등으로 태양광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여 2020년 전라북도 김제시에 연간 700MW 규모로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투자로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은 연간 900MW 생산라인을 보유하게 되었으며(음성 200MW/年, 김제 700MW/年)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는 (1) 클린환경 사업부문, (2) 재생에너지 사업부문, (3) 기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부문 중 클린환경 사업부문은 고객사의 요청, 사양 등에 따라 변동되므로 제품의 개별 가격을 기재할 수 없습니다. 이에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에 대해서만 기재합니다.
○ 재생에너지 사업부문 : 태양광 제조제품의 판매가격은 출력 Watt당으로 계약됩니다. 2021년 2월 이후 글로벌 태양광 수요 증가 및 중국 신장 지역에 대한 제재 및 주요 중국 폴리실리콘기업의 생산 감소로 인해 폴리실리콘 가격이 2020년 저점대비 약 376% 급등하였고, 2021년 2분기 기준 태양전지 및 모듈의 가격도 2020년 저점 대비 25% 상승하였습니다.
***매출실적(별도기준)
당반기 공시 대상 기간 중 당사의 매출실적 중, 주요 사업부문인 클린환경 사업부문의 매출은 75,516백만원,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의 매출은 47,227백만원이었으며, 기타사업부문 매출은 492백만원이었습니다. 당 공시 대상 기간 중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주) 및 삼성물산(주)입니다.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4247억원, 2019년 4028억원으로 감소, 2020년 4824억원으로 증가, 2021년 1,2분기 174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7.4%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1386억원, 4분기 1323억원, 2021년 1분기 756억원, 2분기 991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42억원, 2019년 72억원, 2020년 185억원, 2021년 1,2분기 -6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35억원, 4분기 62억원, 2021년 1분기 -14억원, 2분기 -54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4131억원, 2019년 4166억원, 2020년 4234억원, 2021년 1,2분기 452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2991억원, 2019년 2944억원, 2020년 2320억원으로 감소, 2021년 1,2분기 2483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1141억원, 2019년 1222억원, 2020년 1915억원, 2021년 1,2분기 2044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높아 재정건전성이 불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445억원, 2019년 89억원, 2020년 240억원, 2021년 1,2분기 -267억원으로 2019년과 2020년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808억원, 2019년 -60억원, 2020년 -117억원, 2021년 1,2분기 -80억원으로2019년부터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587억원, 2019년 -4억원, 2020년 18억원, 2021년 1,2분기 320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020년이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1.08로 평균(1)보다 높아 시장민감도가 높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114억원, 2019년 22억원, 2020년 157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559억원, 2019년 67억원, 2020년 83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1%, 2017년 약 6%, 2018년 약 9%, 2019년 약 13%, 2020년 약 14%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4%, 2017년 약 -1%, 2018년 약 -0.98%, 2019년 약 1%, 2020년 약 3%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7년 약 -38%, 2018년 약 10%, 2019년 약 1%, 2020년 약 -8%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7년 약 -5%, 2018년 약 1%, 2019년 약 0.5%, 2020년 약 -3%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4131억원, 2019년 약 4166억원, 2020년 약 4234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77%, 2019년 약 0.97%, 2020년 약 1.15%로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713억원, 2019년 약 782억원, 2020년 약 835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3%, 2019년 약 5%, 2020년 약 5%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257억원, 2019년 약 246억원, 2020년 약 19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8%, 2019년 약 15%, 2020년 약 22%로 안정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262%, 2019년 약 240%, 2020년 약 121%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높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41%, 2019년 약 41%, 2020년 약 65%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107%, 2019년 약 110%, 2020년 약 105%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3,000원입니다.
매매포인트
신성이엔지는 20년 8월부터 주가가 반등하여 20년 11월 최고 4,400원을 찍고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매수적정가는 2,3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0월 8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신성이엔지 | 2,300원 | 2,564원 | 2,480원 | 2,575원 |
'주식 > 유가증권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콜마 주가전망 (161890) : 화장품 관련주 (0) | 2021.10.13 |
---|---|
코오롱 주가전망 (002020) : 두나무, 지주사 관련주 (0) | 2021.10.12 |
동원시스템즈 주가전망 (015820) : 2차전지, 유리병 관련주(21.10.6 업뎃) (0) | 2021.10.06 |
씨에스윈드 주가전망 (112610) : 풍력에너지 관련주 (0) | 2021.10.01 |
호전실업 주가전망 (111110) : 패션, 의류 관련주 (0) | 2021.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