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T&A 목차 |
홈페이지
기업소개
㉮ 레이더디텍터(RD)
RD는 자동차 속도 측정기에서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운전자 등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문자 등으로 알려주는 제품입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된 제품으로 약 45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RD의 기본 기능 외에 GPS 및 카메라 혹은 영상 등의 부가기능이 접목되어 운전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편의를 제공하게 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IT 산업을 이끌고 있는 스마트폰과 접목하는 제품의 시장도 창출되었습니다. 세계시장의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수요를 삼분하는 미국시장에서 당사 공급 제품이 넓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급자 측면에서는 당사가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RD 시장인 미국시장에서 공급되는 전체 수량은 연간 약 80만대 수준이며, 당사가 미국시장 전체 공급물량의 약 50% 정도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본시장의 수급상황을 살펴보면, 2005년을 기점으로RD 기능만을 가진 제품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대신 GPS 기능이 결합된 RD, 스마트폰과 연계된 RD 및 블랙박스와 연계된 RD의 수요가 증가되어, 전체 시장규모는 약 100만대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연간 40~60만대 정도의 물량 생산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으로 원가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량생산체제의 일정한 품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품질 설비로 품질 경쟁력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Cobra / Escort 등 제1의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꾸준한 거래를 통한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RD 사업부문에서의 주요 제품 구분은 일반 RD 제품, RD와 GPS가 통합된 제품, Remote RD 제품, 스마트폰 연계 제품 및 블랙박스형 레코더가 장착된 제품군으로 나뉩니다. 일반 RD 제품은 대부분의 RD 제품을 말하며, Display, Alert, Voice Announcement 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모델들로 나눌 수 있으며, RD와 GPS가 통합된 제품은 고정식 단속기의 대응차원이며, 그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RD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스마트폰 화면으로 확인하고, RD의 control도 스마트폰에서 무선(Bluetooth) 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RD 제품으로 속도 측정, 위치확인, 자동차 Battery 상태 등 부가 정보까지 스마트폰을 통하여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차세대 RD 제품입니다. 더불어 블랙박스 형 레코더가 장착된 RD는 러시아 시장 외, 미국 시장에도 선을 보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Wifi를 통해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제품군까지 갖추었습니다.
㉯ 무전기(TWR)
무전기는 Motorola Solutions사가 세계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공무용, 전문가용, 산업용, 레저용, 해상용 등 용도에 따라 기능 및 특성을 달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무전기는 기술의 난이도를 감안할 때, 일본 및 한국업체가Motorola Solutions사에 주요 공급자 역할을 해 왔으나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을 바탕으로 한 중국 업체의 기술력도 향상됨에 따라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여전히 시장을 유지 및 확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휴대전화 사용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무전기 시장에서는 아날로그 기술 뿐 아니라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어 그 용도와 성능을 특화 시켜 시장확대를 이루어 나가고 있습니다.
산업용 무전기는 틈새시장이라는 특성 때문에 산업 전체의 생산추이나 시장 규모 등에 대하여 정확한 자료를 추정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국내 언론과 타 업체의 사업보고서, 바이어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 등을 토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국내 무전기 시장은 2005년 간이 무선국 주파수 채널이 기존 34개에서 105개로 확대됨에 따라 800~900억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었고,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 모두를 Motorola Solutions가 약 50%를 상회하는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는 Motorola Solutions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점차 높여 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무전기 사업부문에서의 주요 제품 구분은 LMR 무전기(전문가용 무전기), Voice Pager (공무용), 일본시장 산업용 소출력 무전기, Business 용 무전기, Digital 무전기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모두 Motorola Solutions에 공급하며 LMR 무전기는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Voice Pager는 미국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를 늘리고 있고,일본시장에는 소출력 무전기와 중계기로 제품군을 늘려 시장 확보를 하고 있습니다. Digital 무전기는 중국 시장 외, 미국 시장에도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개발 중에 있는 Business 용 무전기는 미국 시장 외, 유럽에 큰 시장도 확보할 예정입니다.
㉰ 블랙박스
최근 블랙박스 내수시장은 성숙기에 있지만, 해외시장은 성장 기조에 있으며, 도입초기단계인 유럽 시장도 곧 본격적인 성장기를 맞이하는 등, 전세계 블랙박스의 시장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순 개인용 블랙박스만 아니라, B2B, 자동차 전장용 블랙박스를 포함하면, 계속적인 시장은 확대 추세입니다. 또한 기존 블랙박스에 통신기능을 탑재(IoT) 하거나, AI 기능을 탑재한 Smart 블랙박스등 제품 군이 다양화 되면서 시장은 더욱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유수의 시장조사 업체인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Global Blackbox 시장은 약 연평균 12.9%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의 제품 사양 및 높은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AI, IoT, ADAS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블랙박스로 B2B 시장을 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랙박스 단말 설계 기술 고도화를 위해 R&D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통신 기능을 내장한 Connected IoT 블랙박스, 운전자를 보조하는 ADAS 탑재 블랙박스, 사물을 인식하는 AI(인공지능)를 탑재한 블랙박스 등, 과거의 단순 녹화만 하는 블랙박스 시장에서 4차 산업 시대가 요구하는 신 기술들이 탑재된 Smart 블랙박스로 해외시장 수출등을 확대하며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예정입니다.
블랙박스 제품군으로는, AI 기반 기술의 블랙박스 및 통신형 IoT 블랙박스가 개발 되고 있으며, 360도 블랙박스, QHD+QHD블랙박스, FHD+FHD블랙박스가 있습니다.
㉱ RDVR 콤보
RDVR 콤보는 블랙박스와 레이더 디텍더를 결합한 제품으로 차량 사고 추적과 더불어 운전자의 안전운행과 과속방지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주로 DVR과 레이더 디텍터 수요국가인 러시아 및 일본, 미주시장에서 주요 제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RDVR 콤보는 DVR(QHD/FHD)+Patch, DVR(QHD/FHD)+Horn 제품이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당사 제품의 원재료는 MCU 등의 반도체류, MLCC등 수동 소자를 비롯한 각종 전자 부품이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의 공급 상황은 당해 연도의 Covid-19팬데믹영향으로 대다수 전자부품 제조사의 생산일 단축 및 신규설비에 대한 투자보류에 더하여 비 대면 사회로의 급속한 진입으로 폭증한 data처리를 수용하기 위한 Data Center증설, Notebook computer등 휴대용 개인정보기기 등의 수요 급증에 따른 memory, MCU를 비롯한 반도체류 수급 불균형 심화되고 있습니다. 반도체류는 주문 후 공급에 소요되는 납기가 연장되고 일부는 공급가격의 인상이 요청되고 있습니다. 금년은 전자산업계 전반에 걸친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부품의 공급 상황이 수월치 않은 것으로 전망하나, 이에 당사는 변화하는 원재료 공급상황을 긴밀히 고객사와 공유하고 원재료 수급의 안정화를 위해 고객사의 장기적 예상 수요를 입수하여 연장된 부품의 납기를 충족하는 사전 발주를 진행하고 공급 문제 예상되는 품목을 비축 및 연구소의 신속한 대체품 발굴 등으로 전자산업계 전반에 걸친 부품 공급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 추이
Covid-19팬데믹 장기화로 부품 제조업체의 신규 설비 투자는 감소 또는 보류 된데 반해 변화된 비 대면 일상으로 전자제품의 수요 증가가 복합되어 memory와 MCU등의 반도체류는 수요 대비 공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고, 백신 보급에 따른 전년도 위축된 경기의 부활 기대와 이상 기후의 영향에 따른 유가 회복, 경기 활성화를 위한 세계 각국의 인프라투자 증대, 지구 환경 개선을 위한 Green정책의 일환으로 급성장세에 있는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의 비축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ESS)산업 성장, 택배물량 급증에 따른 골판지 등 포장지 및 일회용품 증가로 플라스틱 소비 증가등의 이유로 석유,금속,제지류 등 원자재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는 상황으로 전반적인 원재료의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당사는 가격 인상이 예고된 원재료 품목에 대하여는 인상 전에 가능한 주문 재고를 인수,비축을 통해 비용 상승의 영향을 최소화 하며, 또한 이러한 비용상승에 대하여 합리적,객관적 방안으로 제품가격에 반영하여 분담하는 협의를 고객사와 진행하고 있습니다.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1122억원, 2019년 1556억원으로 증가, 2020년 1328억원으로 감소, 2021년 1분기 41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1분기는 전년동기대비 2.8%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2분기 270억원, 3분기 290억원, 4분기 361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65억원, 2019년 185억원으로 증가, 2020년 61억원으로 감소, 2020년 1분기 4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1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5.2%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2분기 6억원, 3분기 9억원, 4분기 -6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770억원, 2019년 933억원, 2020년 964억원, 2021년 1분기 1022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325억원, 2019년 407억원, 2020년 430억원, 2021년 1분기 439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446억원, 2019년 526억원, 2020년 534억원, 2021년 1분기 582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83억원, 2019년 401억원, 2020년 -70억원, 2021년 1분기 -20억원으로 2020년부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못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40억원, 2019년 -150억원, 2020년 -52억원, 2021년 1분기 -39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5억원, 2019년 -42억원, 2020년 36억원, 2021년 1분기 -2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과 2021년 1분기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고, 2020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9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11억원, 2019년 10억원, 2020년 10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73억원, 2019년 392억원, 2020년 -81억원으로 2020년은 미래현금흐름이 좋지 못합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21.71%, 2017년 약 23.54%, 2018년 약 23.72%, 2019년 약 26.51%로 증가, 2020년 약 23.58%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3.72%, 2017년 약 5.64%로 흑자전환, 2018년 약 5.83%로 증가, 2019년 약 11.86%로 증가, 2020년 약 4.59%으로 감소하였습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7.46%, 2017년 약 9.12%, 2018년 약 12.49%로 증가, 2019년 약 4.52%로 감소, 2020년 약 -13.73%으로 마이너스가 되었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3.25%, 2017년 약 4.54%로 플러스 전환, 2018년 약 7.95%로 증가, 2019년 약 10.34%로 증가, 2020년 약 -7.6%으로 마이너스 전환하였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DPS(Dividend Per Share의 약자, 총배당금을 총주식발생수로 나눈 것, 한 주당 얼만큼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DPS가 높을 수록 배당금이 많은 것임) : 2018년 50원, 2019년 50원입니다.
현금배당수익률(최근1년간 배당금 합계를 전일 보통주 주가로 나눈값) : 2018년 1.8배, 2019년 1.68배입니다.
현금배당성향(기업이 버는 돈에 비하여 배당을 지급하는 백분율, 총배당금/당기순이익/100) : 2018년 16.48%, 2019년 42.41%입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770억원, 2019년 약 933억원, 2020년 약 964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48%, 2019년 약 1.83%, 2020년 약 1.4%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 : 2018년 약 206억원, 2019년 약 133억원, 2020년 약 190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5%, 2019년 약 9%, 2020년 약 8%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 : 2018년 약 164억원, 2019년 약 136억원, 2020년 약 19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6%, 2019년 약 10%, 2020년 약 7%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44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46일, 매일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27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62일로 현금운영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72%, 2019년 약 77%, 2020년 약 80%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133%, 2019년 약 173%, 2020년 약 168%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448%, 2019년 약 448%, 2020년 약 371%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낮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지 않습니다.
차트 및 총평
매매포인트
백금T&A는 20년 12월에 급등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하여 21년 6월 최고 5320원을 찍었습니다.
매수적정가는 3500원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6월 29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백금T&A | 4,830원 | 4,192원 | 4,142원 | 4,184원 |
'주식 >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MDS(086960) 주가, 차트, 종목 분석 : 메타버스,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팩토리, 모바일솔루션, 4차산업 관련주(21.7.5업뎃) (0) | 2021.07.05 |
---|---|
서진시스템(178320) 주가, 종목, 차트 분석 : 반도체, 5G, 뉴딜정책, 휴대폰 부품 관련주 (3) | 2021.06.30 |
동진쎄미켐(005290) 주가, 종목, 차트 분석 : EUV 관련주(21.6.26 업뎃) (2) | 2021.06.26 |
테스(095610) 주가, 종목, 차트 분석 : 반도체 관련주(21.6.26 업뎃) (0) | 2021.06.26 |
네패스(033640) 주가, 종목, 차트분석 : 2차전지, 반도체 관련주(21.6.25업뎃) (0) | 2021.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