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유가증권시장

PI첨단소재(178920) 종목 분석 : 폴더볼, 2차전지, 폴리이미드 필름 관련주(21년4월27일 업뎃)

by 비앤피 2021. 4. 27.
728x90
반응형
SMALL

PI첨단소재 목차

 

홈페이지

www.pimaterials.com/main/index.jsp.html

 

PI첨단소재

 

www.pimaterials.com

 

기업소개

당사는 PI(Polyimide) 필름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플라스틱보다 높은 강도와 열적 안정성을 가짐으로써 금속을 대체하거나 전기 전자 분야와 같은 공업적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고 합니다. PI(Polyimide)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서도 그 특성이 보다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분류되며, PI(Polyimide)를 필름 형태로 제조한 PI(Polyimide) 필름은 상용화된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 가장 뛰어난 물성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약 -269℃부터 400℃까지의 온도 구간에서 사용이 가능한 내한, 내열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며, 외부의 물리적, 열적 자극에도 형태와 치수를 유지하는 치수 안정성, 전기적 특성, 내화학성 등을 기반으로 한 뛰어난 내구성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PI(Polyimide) 필름은 우주, 항공 용도에 적용하기 위해 1960년대에 개발된 소재로, 수십년간 우주 항공 및 산업용도와 같은 특수 분야 위주로 적용되었으나, 1990년대 들어 FPCB의 상업화에 따라 PI(Polyimide) 필름의 적용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Portable 모바일 기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FPCB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이는 FPCB의 후방 산업인 FCCL과 PI(Polyimide) 필름의 급격한 수요 증가를 가져왔습니다. 이후 최근에는 PI(Polyimide) 필름을 적용한 방열시트(인조 Graphite Sheet) 시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PI(Polyimide) 필름의 적용 분야는 점점 더 확대되고 다양해지는 추세입니다.

당사의 전신인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C㈜는 각각 2000년대 초반부터 PI(Polyimide) 필름의 개발에 착수했으며, 각 사는 2006년 경 본격적인 사업화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8년 6월, PI(Polyimide) 필름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C㈜ 양사는 각각의 PI(Polyimide) 필름 사업부를 분할, 합병하여 에스케이씨코오롱PI ㈜를 설립했습니다. 이후 2020년 3월 6일 (주)코리아피아이홀딩스로 최대주주가 변동되었고, 2020년 5월 27일 피아이첨단소재(주)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기존 주주사에서 40여년간 축적해온 화학과 필름 기반의 기술력을 이어 받아 설립된 국내 유일의 PI(Polyimide) 필름 제조사인 당사는 독자적인 기술과 전방 산업의 요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오며 일본, 미국의 선진 기업들과 경쟁함으로써 해외 업체에 종속되어 있던 PI(Polyimide) 필름 관련 산업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당사는 2014년부터 글로벌 PI(Polyimide) 필름 시장 점유율 1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모바일, 디스플레이, 반도체, 2차전지 등 국내외 전방 산업이 필요로 하는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 공급함으로써 현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당사의 제조 제품은 PI(Polyimide) 필름 및 PI(Polyimide) 바니쉬이며, 기초 소재의 특성상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방 산업에 대한 구분은 주된 매출인 PI(Polyimide) 필름이 적용되는 주요 시장을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FPCB 용도

PI(Polyimide) 필름이 대상으로 하는 시장 중 그 규모가 가장 큰 시장은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용도 시장입니다. FPCB는 RPCB(Rigid Printed Circuit Board) 대비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갖고 있으며, 유연성이 좋고 집적도가 높아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 집적화 트렌드에 부합하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 제품의 직접고객사는 FCCL 제조 업체로, FCCL 제조 업체는 FPCB 업체의 주요 Supplier입니다. FCCL과 FPCB를 거친 PI(Polyimide) 필름은 궁극적으로 Display 모듈, 카메라 모듈을 비롯한 모듈 업체 및 스마트폰, 태블릿, 자동차, 디스플레이, PC & Laptop 등과 같은 세트 업체에게 제공됩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공급채널상에서 수요자의 주문 및 요구에 맞는 PI(Polyimide) 필름을 생산하여 공급해야 하므로, 전방 업체의 오더에 대한 품질 및 납기를 준수하는 것이 사업을 유지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2) 방열시트 용도

PI(Polyimide) 필름이 적용된 방열 시트의 정식 제품 명칭은 '인조 Graphite Sheet(Artificial / Pyrolytic / Synthetic Graphite Sheet)'입니다.

3) 디스플레이 용도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품 중 CoF(Chip On Film)는 디스플레이의 PCB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하는 구동회로로써, PI(Polyimide) 필름 위에 금속층을 Sputter하고 구리를 도금하여 FCCL을 만든 후, 회로를 형성하여 그 위에 구동 Chip을 얹은 부품입니다. CoF 용도 시장은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년간 침체를 거듭했으나, 2013년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UHD로 확대되고 2017년 이후 4K, 8K로 발전함과 동시에 최근 LCD에서 OLED로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이 변화하면서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한 CoF의 적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당사는 현재 CoF 용도로 양산 및 상용 공급 중입니다. 또한, Foldable 폰과 같은 Flexible OLED Display 패널에 유리를 대체하는 Substrate 소재로 PI(Polyimide) 필름이 적용되고 있으며, Flexible Display 시장의 본격적인 개화와 함께 PI(Polyimide) 필름의 높은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4) 첨단 산업 용도

첨단 산업용 시장은 PI(Polyimide) 필름이 최초 적용되기 시작했던 우주 항공 용도를포함하여 전기 절연용, 공정 부자재용, Tape 및 공정용, EV(Electric Vehicle)용 등을총칭하나, 하기 설명에서는 적용분야의 유사성을 감안하여 전기 절연용, Tape 및 공정용, EV(Electric Vehicle)용, 기타와 같이 구분하였습니다.


*회사의 핵심 경쟁력

1) 원가 경쟁력

거래선이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넘어서는 조건 하에서 제품을 경쟁력 있는 단가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은 모든 제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사항입니다. 다양한 공급 채널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전기 전자제품 소재 시장에서는 가격 외에도 다양한 경쟁 요소가 존재하지만, PI(Polyimide) 필름의 경쟁력 있는 단가는 FCCL과 FPCB의 단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시장의 주요 물량은 장기적으로 공급 관계가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PI(Polyimide) 필름의 단가는 단기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향후 신제품의 소재 선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쟁력 있는 단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며, 당사는 꾸준한 공정 능력 향상을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비에서 제한하고 있는 사양 이상으로 매년 생산성 향상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당사의 차별화되고 축적된 엔지니어링 노하우를 기반으로한 핵심역량 중 하나 입니다.

2) 안정적인 원부재료 수급 능력

PI(Polyimide) 필름의 원료 공급자는 정밀화학 업체로, 정밀화학 업계 특성상 물량 계약에 따라 단가가 결정되기에 구매량에 따른 단가 하락폭이 큰 편입니다. (반대로, 상업화되지 않은 원부재료의 단가 및 소량 구매시의 단가는 매우 높습니다.) 당사는 2014년부터 글로벌 PI(Polyimide) 필름 판매량 기준 1위를 달성했으며, 이와 같은 당사의 높은 판매량은 원료비 절감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3)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및 공급 유연성

타사의 생산 설비가 지정된 Type과 두께의 제품만 생산할 수 있는 반면, 당사의 생산설비는 하나의 호기에서 다수 Type, 여러 두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관리,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상위업체와 시장의 요구에 대해 유연성 있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는당사가 시장의 특수품종 오더에 대해 빠른 납기로 대응 가능한 바탕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초기 개발 제품의 경우 기존의 표준화된 Spec과는 다른 주문 생산 제품이 많기에 이러한 당사의 빠른 대응은 신제품 선점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FPCB 용도, 방열시트 용도, 첨단 산업 용도 등의 제품과 같이 경쟁사 대비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 생산하고 있으며, 타 Maker에서는 잘 대응되지 않는 특수(Customized) 두께 제품, 특수 폭 제품 또한 시장의 요청에 따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는 다양한 산업과 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에 대응하는 공급 유연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용도에 PI(Polyimide) 필름을 적용하며 시장 저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4) 제품 신뢰도

PI(Polyimide) 필름과 같은 소재의 경우 한 번 사용을 개시하게 되면 해당 모델 또는 프로젝트에 대해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만큼 상기에서 언급된 각각의 경쟁 요소(가격, 품질, 납기)에서의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일관성이 누적되면 (브랜드) 신뢰도가 형성되고, 차기 모델 및 시장에서도 재차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즉, PI(Polyimide) 필름 산업에서의 신뢰도는 단발성 계약이 아닌 지속적 거래 관계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경쟁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제품 등의 매출 현황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7년 2164억원, 2018년 2455억원으로 증가하였고, 2019년 2237억원으로 감소하였고, 2020년 2618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은 전년동기 17%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1분기 616억원, 2분기 558억원, 3분기 745억원, 4분기 699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7년 530억원, 2018년 605억원으로 증가하였고, 2019년 336억원으로 감소하였고, 2020년 600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은 전년동기대비 78.6%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1분기 147억원, 2분기 125억원, 3분기 159억원, 4분기 168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7년 3412억원, 2018년 3724억원, 2019년 3930억원, 2020년 4040억원으로 꾸준히 우상향하였습니다.

부채는 2017년 929억원, 2018년 1137억원, 2019년 1417억원으로 증가하였고, 2020년은 1211억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자본은 2017년 2482억원, 2018년 2587억원, 2019년 2513억원, 2020년 2829억원으로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보다 자본이 약 2배이상높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7년 697억원, 2018년 179억원, 2019년 381억원, 2020년 809억원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7년 -224억원, 2018년 -694억원, 2019년 -145억원, 2020년 -124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7년 -196억원, 2018년 -88억원, 2019년 -65억원, 2020년 -212억원으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종목분석

CAPEX : 2018년 673억원, 2019년 239억원, 2020년 89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2021년은 385억원으로 추정됩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494억원, 2019년 142억원, 2020년 720억원으로 흑자전환하여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2021년은 454억원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채권회전율 : 2018년 255억원, 2019년 297억원, 2020년 343억원이고, 회전율은 약 8회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 : 2018년 515억원, 2019년 467억원, 2020년 315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7회, 2019년 4회, 2020년 6회로 안정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43%, 2019년 56%, 2020년 42%로 증감을 오가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75%, 2019년 65%, 2020년 139%로 감소후 증가하였고,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화되가고 있습니다.

유보율 : 2018년 2193%, 2019년 2143%, 2020년 2358%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차트 및 총평

PI첨단소재의 2021년 영업이익은 821억원으로 추정됩니다. 현재(21.4.27) 시가총액은 1조 4889억원으로 멀티플 24입니다.

FPCB 및 OLED 패널, 배터리를 전방수요로 두고 있는 PI첨단소 재 1분기 실적은 매출 776억원(YoY +26%, QoQ +11%), 영업이 익 207억원(YoY +41%, QoQ +23%)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1) FPCB 부문(매출 비중 40%)의 경우 모바일에만 국한됐던 전방 수요가 BMS, 전장 부품 등 자동차 시장으로 확대되고 모바일 시 장 내에서도 5G 침투율 상승에 따른 MPI (Modified PI) 필름 수 요 증가로 Q 와 P 동반 상승하며 부문 매출 YoY 18% 증가했고 1분기 기준으로 3년만에 QoQ 매출 증가했습니다.

2) OLED 스마트폰 에 주로 사용되는 방열시트 부문(비중 34%)의 경우 OLED 침투 율 지속 상승 및 아이폰 12 판매 호조로 매출 YoY 31% 증가했습니다.

3) 배터리, 구동모터, MLCC 등을 전방 시장으로 두고 있는 첨단소재 부문(비중 26%)의 경우 유럽 전기차 시장 확대 속 각형 배터리에 탑재되는 PI 필름 수요 증가 지속되며 매출 YoY 46% 증가했습니다.

2분기 실적은 매출 739억원(YoY +33%), 영업이익 194억원 (YoY +55%)으로 성장세 지속될 전망입니다. 판가 인상 분이 2분기 부터 본격 매출 반영되며 QoQ 매출 소폭 감소 불구 현재의 고마 진 유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2021년 실적은 매출 3,305억원 (YoY +26%), 영업이익 877억원(YoY +46%)으로 가파른 성장이 전망됩니다. 5G 스마트폰 및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개화 영향으로 스마트폰 시장 內 OLED 침투율 상승 (2021년 OLED 수요 면적 YoY 21% 증가 전망)과 함께 신규 시장인 전장 FPCB 수요 증가 하면서 전방 시장의 파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대만 경쟁사 타이마이드 의 월 매출은 최근 3개월간 월 평균 62% 증가했습니다. 시장점유율 1,2위인 PI첨단소재와 Kaneka의 증설은 여전히 Zero입니다. 수요 확 대와 공급 부족 맞물리며 3년만에 PI필름 가격 상승했고 고마진 제품 매출 비중 상승으로 과거 20% 초중반이던 영업이익률은 20% 중후반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첨단소재 부문인 각형 배터리 PI 필름 및 전동 모터 PI Varnish 매출이 본격화되며 자동차 관련 매 출 비중이 상승하고 있는 것은 앞서 언급한 마진율의 상승과 함께 Valuation Re-rating의 논리를 강화시켜줄 요인입니다.

매매포인트

PI첨단소재는 20년 12월부터 주가가 상승하여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2번의 조정구간도 있었지만 앞으로 지속적인 상승이 전망됩니다. 매수 적정가는 46000원초반입니다.

 

추정평균단가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PI첨단소재 51300원 45037원 44935원 45641원

 

PI첨단소재 IP자료(21년 4월 26일)

PI첨단소재 1Q21 IR자료_국문_20210426.pdf
0.89MB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