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유가증권시장

이수화학(005950) 주가 전망 : 전고체 배터리, 화이자 백신, 이수앱지스 관련주

by 비앤피 2021. 4. 26.
728x90
반응형
SMALL

이수화학 목차

 

홈페이지

www.isuchemical.com/kor/index.do

 

이수화학

이수화학, 이수그룹, ISU, 이수화학

www.isuchemical.com

 

기업소개

1. 석유화학사업부문

가. 석유화학부문

(1) 알킬벤젠

알킬벤젠 수출의 경우 다국적 기업에 대한 공급물량 확보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통해 Global Supplier Position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사는내수/로컬, 중남미 시장 등 기존 시장 판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일본 시장을 포함한 신규 시장 판매 확대를 지속 추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GOC 공장은 중국 내수 공급 및 수출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노말파라핀

노말파라핀은 알킬벤젠 생산에 투입되기 때문에 판매가능 물량이 제한되어 있어 수출물량을 대폭 확대할 수는 없지만, 고부가가치 신규제품 개발을 발판으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수출시장 외 일본, 미국, 유럽지역 등의 선진국 시장 등으로 판매 Channel의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신규 용도 개발을 통한 수출 시장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 특수제품부문

당사의 특수제품사업은 ABS, SBR, SB-Latex에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되는 TDM 부문과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도가 매우 높은 Solvent인 IPA 부문, 환경 친화적 Special Solvent 부문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TDM 부문은 '97년도 세계 4번째로 제조기술을 독자 개발하여 국내 수요 충족은물론 주로 아시아 시장 등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이자, 세계 3대 Maker 중 하나입니다.  

(2) IPA 부문은 제조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2008년도부터 상업생산 하였으며, 국내 및 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COVID-19 영향에 따른 손소독제 용도의 글로벌시장 수요 증가로 수출시장을 다변화 하고 있습니다.

(3) Special Solvent 부문은 불순물이 거의 없고 저취용제로써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다양한 Grade의 Solvent를 생산하여 국내 및 전 세계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이러한 당사의 Special Solvent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잉크, 살충제, 드라이크리닝 등 실생활용품 제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수요처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지속적으로 특수제품부문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2. 건설사업부문

당사는 지난 40년간 지속적인 신공법 연구개발 및 풍부한 시공 노하우로 각종 도로와 터널, 교량시공, 부지조성공사 등의 토목공사와 오피스텔, 기숙사, 연구시설, 아파트 등 국내외에 무수히 많은 건축물을 분양에서 시공, 사후관리까지 전과정에 걸처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감동하는 브라운스톤만의 주택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인정하는 기술력과 철저한 장인정신으로 한국 토지 주택공사등 여러 기관으로부터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또한, 한국 경제 주관 주거문화대상 브랜드 대상 한국주거학회 주관 우수 주거문화 공모전 우수상 수상 등 꾸준한 공법개발과 탁월한 시공능력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기반산업 및 신 주거 문화창조에 앞장서는 우수 시공업체로서의 기반과 명성을 착실히 쌓고 있습니다. 주요사업내용을 보면 북일-남일간 건설공사(2공구), 성남여수 택지조성공사, 마산항 서항지구 친수공산 조성공사등의 토목공사와 경산하양LH, 전주1산단 행복주택, 부천웹툰LH공사등 다수의 공공건축공사와  전주 우아한시티, 브라운스톤 양산물금, 브라운스톤 부평, 대덕 브라운스톤 등의 민간 주택사업, 양평동 5가 지식산업센터, 평택고덕 지식산업센터, 평택상공회의소 회관 신축공사등의 민간 건축공사, 정일황산탱크 신축공사, 솔비톨 분말공장 증설 설치공사 등의 민간 플랜트공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3. 의약사업부문

신약의 경우 특허, 데이터독점권 등을 통하여 일정기간 동안 독점적인 판매권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특허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원으로부터 20년간 제품의 권리가 보호되며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의약품의 임상시험 및 허가심사에 소요된 기간에 대하여 최고 5년까지 특허존속기간을 연장해주는 제도를 가지고있습니다. 데이터독점권은 신약의 인허가에 필요한 노력을 보상해 주기 위하여 허가 신청 시 제출된 안전성, 유효성 자료에 대하여 허가일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독점권을부여해 주는 제도로 신약의 경우 5년, 신규 임상추가의 경우 3년 정도의 기간 동안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약 개발에는 타겟 발굴에서 공정개발, 전임상, 임상, 허가 후 출시까지 12~15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출시 후 제네릭 제품 출시까지 평균적으로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시장을 독점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체치료제의 경우 화학신약보다 개발 기간이 2년에서 최고 5년 정도까지 짧기 때문에 12년 이상의 독점권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기술 개발의 난이도 및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 경쟁자 출현이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또한, 전략적인 적응증 확대, 인간화 기술 적용을 통한 개량형 제품 출시를 통하여 제품의 라이프 싸이클을 연장하는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규사업의 내용

1. 석유화학사업부문

(1) Mercaptan 사업 확장

기존 TDM(Tertiary Dodecyl Mercaptan) 외 NOM(Normal Octyl Mercaptan) 및 NDM(Normal Dodecyl Mercaptan) 사업 추가를 위한 신규 Plant를 2019년 12월에 준공했습니다.

① 주요 용도

- 합성고무 산화방지제 원료

-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의 분자량 조절제

② 시장 규모 및 특징

Global 시장 규모는 약 1억 달러이며, 전방산업의 성장성이 유망하고 경쟁재 대비 물성, 경제성, 친환경성 등이 우수하여 연평균 약 10% 씩 성장 중

③ 추진 이력

- 2015년부터 약 3년 반 동안 자체 기술 개발

- 2018년 하반기 ~ 2019년 12월에 Plant 건설 완료 (울주군에 위치한 당사 온산공장 내, 연산 5천톤 규모)

④ 기대 효과

- 기존 TDM과 더불어 아시아 역내 유일의 종합 Mercaptan 업체

- 전방산업의 필수 아이템으로 역내 공급 안정성 제고 및 수입 대체 효과 기대

(2) 스마트팜 사업

당사는 신성장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중국 신장성에 스마트팜 설계, 시공, 생산, 유통의 전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사업을 시작했고, 2018년 4월 중국 현지업체와 조인트벤처 설립계약을 했습니다. 2018년 8월 중국정부의 부지사용 승인을 받아 11월 5ha 부지에 스마트팜 온실을 착공했고, 2019년 10월 준공해 토마토, 파프리카 등 과채류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대규모 온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스마트팜 복합환경제어 솔루션은 계열회사인 이수시스템이 국책연구기관인 ETRI, 종속회사인 한가람포닉스와 공동 개발하였으며, 국내외 농가에 보급을 시작하였습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국경봉쇄 및 영업활동 위축 등의 이슈로 해외 사업 진행의 어려움이 있으나, 국내 온실 부문의 매출 증대에서 사업 확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농산업 정책 확대 기조에 발맞추어, 사업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입니다.

(3) Special LAB/BAB 및 고부가 수첨제품

당사는 기존 LAB/BAB 대비 높은 수익성을 가진 산업용 특수 계면활성제의 원료인 Special LAB/BAB와 5G 케이블 소재 및 Flexible 디스플레이 소재 원료 등에 적용되는고부가 수첨 제품 생산 시설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 건설사업부문

(1) 신규사업 분야 및 진출 목적

주택사업 중심의 구조에서 토목, 플랜트, 해외공사를 통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여 각기술별 실적 확보로 여러 공사의 입찰참여를 확대하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주요 특성 및 규모

건설업의 경우 경기 선행지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군에 속하여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및 정책 기조에 영향을 받습니다. 장기화된 건설경기 불황이 최근에 들어 다소 회복되는 분위기이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많이 존재하고 있어 국내 건설 경기 전체적인 공급물량의 조절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예측되어야 하는 산업입니다. 

(3)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 투자자금 조달원천

관공서 및 해외공사의 경우 선수금 수령을 우선으로 하여 착공하는 사업을 진행하므로 별도의 투자자금은 미미하며, 주택사업 및 민간도급의 경우 신규사업 추진시 투입되는 자금소요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업성 분석을 여러단계에 걸쳐 검증하고 있으며 투자자금 필요시 해당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통한 외부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예정입니다.

3. 의약사업부문

당사는 현재 추진중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새로운 분야의 사업으로 희귀 난치의약품을 도입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첫 번째 도입 품목은 요소회로대사이상증 치료제 페부레인으로 2015년 국내 식약처의 허가를 취득하여, 2016년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도입 품목은 윌슨병 치료제 트리엔탑으로 2018년 도입하여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윌슨병은 구리대사의 이상으로 간, 뇌 등의 장기에 구리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유전성 희귀질환이며 트리엔탑은 2005년 한국 식약처로부터 승인 받은 윌슨병 치료제 사이프린의 복제약입니다. 최근 사이프린의 국내 공급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당사는 윌슨병 환자들에게 치료제 선택권을 확대하고 안정적 치료를 위해 트리엔탑의 국내 도입을 결정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하여 주력 사업군인 암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 부문 강화를 위하여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계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체 발굴한 타겟을 개발하는 방법, 외부에서 발굴한 타겟을 들여와 개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향에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계적인 암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 대표기업으로자리매김 하기 위해 해당 분야의 사업을 집중 강화할 것입니다.


*20년 가동률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7년 15078억원, 2018년 15311억원으로 증가하였고, 2019년 15162억원, 2020년 13190억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은 전년동기 -13%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1분기 3627억원, 2분기 3156억원, 3분기 3309억원, 4분기 3099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7년 311억원, 2018년 74억원으로 감소하였고, 2019년 94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327억원으로 적자전환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1분기 15억원, 2분기 165억원, 3분기 176억원, 4분기 -683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7년 9995억원, 2018년 9357억원, 2019년 10680억원, 2020년 9756억원으로 증감을 오가고 있습니다.

부채는 2017년 6554억원, 2018년 5332억원, 2019년 6868억원, 2020년 6797억원으로 증감을 오가고 있습니다.

자본은 2017년 3442억원, 2018년 4024억원, 2019년 3813억원, 2020년 2960억원으로 증가후 감소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자본보다 부채의 비율이 약 2배이상 높아 재정건전성이 좋지 못합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7년 102억원, 2018년 -391억원, 2019년 -54억원, 2020년 827억원으로 2018년, 2019년에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못했으나 2020년에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회복되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7년 -462억원, 2018년 853억원, 2019년 -785억원, 2020년 -64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2018년을 제외하고 양호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7년 419억원, 2018년 -867억원, 2019년 951억원, 2020년 615억원으로 2018년을 제외하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못합니다.

종목분석

CAPEX : 2018년 266억원, 2019년 426억원, 2020년 135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657억원, 2019년 -481억원, 2020년 691억원으로 흑자전환하였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 : 2018년 1244억원, 2019년 1057억원, 2020년 738억원이고, 회전율은 약 13~14회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 : 2018년 1186억원, 2019년 1248억원, 2020년 1248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13회, 2019년 12회, 2020년 11회로 안정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132%, 2019년 180%, 2020년 229%로 증가하고 있고, 표준(100%)보다 높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83%, 2019년 91%, 2020년 82%로 증감을 오가고 있습니다.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좋지 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247%, 2019년 246%, 2020년 89%로 감소하였습니다. 유보율이 좋지 않아 사내 유동자산이 상당히 부족합니다.

총평 및 매매포인트

**매매포인트 : 이수화학은 20년 10월 급등, 11월 급등해서 21년 1월에 최고점 17,350원을 찍고, 조정을 받다가 21년 4월에 반등을 주고 있습니다. 매수 적정가는 13,000원이하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