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스닥

파이오링크 주가전망 (170790) : 통신장비, 보안, 클라우드 관련주(21.12.10업뎃)

by 비앤피 2021. 12. 10.
728x90
반응형
SMALL

목차

 

홈페이지

파이오링크 홈페이지

 

파이오링크- ADC,웹방화벽,보안스위치,보안관제,보안컨설팅

파이오링크- ADC,웹방화벽,보안스위치,보안관제,보안컨설팅

www.piolink.com

 

기업소개

당사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최적화를 위한 제품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기업의 정보자산을 보호하는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각종 저장장치,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부터 전력공급 및 냉각기술에 이르기까지 현대 정보기술의 핵심 제품이 모두 집약되어 있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당사는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주요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제조하고  기업 및 공공기관등에 보안서비를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영역은 애플리케이션 전송장치(ADC), 보안스위치, 웹방화벽,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등의 데이터센터 핵심 솔루션과   정보보안 침해/서비스 동향을 24시간 365일 모니터링하고, 사전 확인, 분석, 컨설팅등의 전반적인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1) 네트워크 장비

(가)ADC

ADC의 도입목적은 폭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비즈니스 만족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므로, 다른 어떠한 솔루션보다도 서비스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failover 및 이중화 관련 기능 및 이와 관련한 부하분산 및 보안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 안정적인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기술적으로 높은 수준의 이해도와 숙련도가 필요합니다. 이 같은 고도의 기술로 인해 시장 진입장벽은 높은 편이며, 단기간에 안정적인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네트워크의 각 기술단계별 성숙도, 보안기술에 대한 이해 및 실행능력을 갖추기는 쉽지 않습니다. ADC 시장의 성장성은 데이터센터의 증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증가, 클라우드 컴퓨팅 성장 등의 시장 배경과 함께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서비스 증가,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및 트래픽의 증가는 ADC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나)보안스위치

전통적인 L2스위치는 단순한 패킷의 전송에 대해서만 역할을 할 뿐, 날로 증가하는 보안 위협에 대해서는 적절한 고객가치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당사는 보안이라는 차별화 포인트를 발굴하여 L2스위치시장에 진출하였고, 2015년에는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스위치'라는 새로운 컨셉의 제품을 시장에 소개한 바 있습니다. 다수의 장비가 넓은 지역에 설치 운영되는 제품의 특징상 설치단계부터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에 이르기까지 사용자 및 관리자의 부담이 높은 한계를 클라우드 기반 기술로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제품입니다. 클라우드 스위치로 고객들은 더 빠르고 쉽게 제품을 설치할 수 있고, 운영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장애 상황 등에 실시간으로 대처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웹방화벽

웹사이트를 통한 다양한 공격으로부터 웹서버를 보호하는 장비로 웹공격, 부정 로그인, 웹사이트 위변조, 민감정보 유출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보안위협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 및 접속방법의 증가에 따라 웹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보안위협과 이에 대한 대응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평가되기에 웹방화벽에 대한 성장 기대치 또한 높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라)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

21년 7월 HCI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한 당사의 신규 사업으로 기존의 전용장비 사업에서 통합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HCI는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인프라인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해 운용 효율, 비용 절감, 확장성 등에 이점을 지닌 제품입니다. 최근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프라이빗.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센터 솔루션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입니다.

(2) 보안서비스

(가) 보안관제서비스 

보안 관제 서비스는 기업의 IT 정보보안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보안전문가 또는 보안 전문 기업에게 업무 수행을 위탁하는 IT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고객의 보안 시스템 및 자산 정보를 기반으로 24시간 365일 보안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보안 대응 정책을 수립하며, 외부 공격자의 침입 시도에 대한 탐지, 분석, 대응 등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보안 업무를 위탁 받아 제공합니다. 현대 산업에서 보안 관제는 사업의 성패와 안정성,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보안과 관련하여 대처가 미흡할 경우 서비스 손실 및 기업 가치 하락 등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도 꾸준한 수요와 성장성 가치를 지닌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 보안컨설팅 서비스 

당사는 2018년 3월 보안컨설팅 서비스 사업부분을 양수하였습니다.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는 정보보호 평가인증(ISMS-P, ISO27001 등),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개인정보보호 컨설팅, 정보감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보안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해서 ISMS 의무화 및 공공기관 및 주요 통신기반시설을 보유한 고객들의 취약점 진단 대상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매출현황

▲맨위로▲

주주에 관한 사항

 

▲맨위로▲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274억원, 2019년 351억원, 2020년 398억원, 2021년 1,2,3분기 34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30.7%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134억원, 2021년 1분기 93억원, 2분기 106억원, 3분기 147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11억원, 2019년 42억원, 2020년 65억원, 2021년 1,2,3분기 6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89.3%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32억원, 2021년 1분기 9억원, 2분기 16억원, 3분기 37억원입니다.

▲맨위로▲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463억원, 2019년 534억원, 2020년 707억원, 2021년 1,2,3분기 76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 2018년 129억원, 2019년 147억원, 2020년 186억원, 2021년 1,2,3분기 18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 2018년 335억원, 2019년 387억원, 2020년 520억원, 2021년 1,2,3분기 580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맨위로▲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9억원, 2019년 82억원, 2020년 63억원, 2021년 1,2,3분기 19억원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3억원, 2019년 -17억원, 2020년 -46억원, 2021년 1,2,3분기 -82억원으로 2019년부터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억원, 2019년 -11억원, 2020년 29억원, 2021년 1,2,3분기 -12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과 2021년 3분기까지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이고, 2020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맨위로▲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1.12로 평균(1)보다 높아 시장민감도가 높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3억원, 2019년 2억원, 2020년 32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6억원, 2019년 80억원, 2020년 30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46%, 2017년 약 41%, 2018년 약 51%, 2019년 약 47%, 2020년 약 50%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1%, 2017년 약 -10%, 2018년 약 4%, 2019년 약 11%, 2020년 약 16%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4%, 2017년 약 -7%, 2018년 약 1%, 2019년 약 15%, 2020년 약 19%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높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4%, 2017년 약 -6%, 2018년 약 0.81%, 2019년 약 11%, 2020년 약 17%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높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463억원, 2019년 약 533억원, 2020년 약 706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61%, 2019년 약 0.7%, 2020년 약 0.64%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94억원, 2019년 약 73억원, 2020년 약 11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3%, 2019년 약 4%, 2020년 약 4%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34억원, 2019년 약 30억원, 2020년 약 40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8%, 2019년 약 10%, 2020년 약 11%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84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32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17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100일로 현금운영입니다.

▲맨위로▲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38%, 2019년 약 37%, 2020년 약 35%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489%, 2019년 약 620%, 2020년 약 551%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962%, 2019년 약 1115%, 2020년 약 1457%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맨위로▲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30,000원입니다.

 

▲맨위로▲

매매포인트

파이오링크의 주가는 21년 6월에 급등하였고, 21년 11월 최고 19,150원을 찍고 조정을 받았습니다.

매수적정가는 15,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2월 10일)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파이오링크 16,900원 16,852원 17,044원 16,634원

▲맨위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