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홈페이지
COSMECCA KOREA 코스메카코리아 홈페이지
아름다운 삶에 기여하는 글로벌 뷰티시장의 리더, 코스메카 코리아 | 코스메카코리아는 화장품의 메카가 되겠다는 목표로 글로벌 고객사와 함께하는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생산 기업입니다.
www.cosmecca.com
기업소개
코스메카코리아는 화장품 ODM/OEM 기업으로서, 글로벌 선두 기업을 포함한 국내외 다수의 화장품 브랜드 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ODM에서 나아가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이라고 불리는 판매 국가의 트렌드, 유통구조, 법적 규제 등을 고려한 독자적인 글로벌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자동화 생산 시스템(CPS, Cosmecca Production System)을 구축하여 불량률 감소 및 생산 효율화를 이루었으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국내 최초 3중 기능성 BB크림을 개발하며, 전세계 화장품 시장에 불어 닥친 BB크림 열풍을 선도한 독보적인 '유화 메이크업의 강자'이며, 그 후로도 다수의 혁신적인 신제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인력이 전체 인력의 약 40%에 달하며, 전문 인력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식재산권 등록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선도적인 제품 개발 능력은 과감한 R&D 투자에 기반합니다. 당사의 생산사업장은 '혁신'과 '품질경영'을 기반합니다. 국제표준화기구가 제정한 안전, 보건 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 인증인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비롯하여,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과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ISO22716(우수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등을 획득하여 글로벌화를 위한 생산 경영 시스템을 완벽하게 장착했습니다. 2018년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잉글우드랩을 인수하며, 한국, 중국, 미국에 생산거점을 확보하였습니다. 잉글우드랩은 기초 및 OTC 제품 생산 차별화를 바탕으로 글로벌 업체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현지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및 서비스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3033억원, 2019년 3470억원, 2020년 3391억원, 2021년 1,2,3분기 302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7.4%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812억원, 2021년 1분기 935억원, 2분기 1120억원, 3분기 973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98억원, 2019년 83억원, 2020년 99억원, 2021년 1,2,3분기 18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48.7% 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24억원, 2021년 1분기 34억원, 2분기 88억원, 3분기 66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3150억원, 2019년 3509억원, 2020년 3590억원, 2021년 1,2,3분기 3882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1434억원, 2019년 1785억원, 2020년 1864억원, 2021년 1,2,3분기 1957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1716억원, 2019년 1724억원, 2020년 1726억원, 2021년 1,2,3분기 192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높아 재정건전성이 불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08억원, 2019년 194억원, 2020년 119억원, 2021년 1,2,3분기 29억원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971억원, 2019년 -343억원, 2020년 -49억원, 2021년 1,2,3분기 -75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611억원, 2019년 172억원, 2020년 103억원, 2021년 1,2,3분기 -4억원으로 2018년, 2019년, 2020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 2021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66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429억원, 2019년 307억원, 2020년 142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2021년은 132억원으로 추정됩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321억원, 2019년 -114억원, 2020년 -23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2021년은 154억원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21%, 2017년 약 21%, 2018년 약 17%, 2019년 약 18%, 2020년 약 17%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7%, 2017년 약 6%, 2018년 약 3%, 2019년 약 2%, 2020년 약 2%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18%, 2017년 약 9%, 2018년 약 7%, 2019년 약 3%, 2020년 약 2%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10%, 2017년 약 6%, 2018년 약 3%, 2019년 약 1%, 2020년 약 0.96%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3150억원, 2019년 약 3509억원, 2020년 약 358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3%, 2019년 약 1.04%, 2020년 약 0.96%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519억원, 2019년 약 567억원, 2020년 약 494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7%, 2019년 약 6%, 2020년 약 6%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472억원, 2019년 약 492억원, 2020년 약 597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9%, 2019년 약 7%, 2020년 약 6%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57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58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34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81일로 현금운영이 안정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83%, 2019년 약 103%, 2020년 약 108%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높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94%, 2019년 약 71%, 2020년 약 62%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이지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2259%, 2019년 약 2289%, 2020년 약 2348%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주가(ROE x EPS) = 7.12x 880원으로, 적정주가의 가격은 6200원으로 평가됩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시총(ROE x 영업이익) = 7.12x 219억원으로, 그 합산은 1559억원입니다. 적정주가 대비 약 10% 저평가입니다.
차트 및 총평
코스메카코리아의 2021년 영업이익은 219억원으로 추정됩니다. 현재(21. 11. 30) 시가총액은 1330억원으로 멀티플 6입니다.
목표주가는 20,000원입니다.
매매포인트
코스메카코리아의 주가는 21년 3월 반등하여 21년 6월 최고 19,500원을 찍고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매수적정가는 12,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1월 30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코스메카코리아 | 12,150원 | 15,312원 | 15,207원 | 15,738원 |
'주식 >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오티베큠 주가전망 (083310) : 태양광에너지, OLDE, LCD, 반도체 장비 (0) | 2021.12.02 |
---|---|
한독크린텍 주가전망 (256150) : 정수기 필터, 에어 필터 관련주 (0) | 2021.12.01 |
라이트론 주가전망 (069540) : 통신장비, 5G, 수소차 관련주 (0) | 2021.11.27 |
제너셈 주가전망 (217190) : 반도체 장비, 전자파 관련주 (0) | 2021.11.25 |
쿠콘 주가전망 (294570) : 핀테크 관련주 (0) | 2021.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