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스닥

인텔리안테크 주가전망 (189300) : 우주항공산업, 통신장비 관련주(22.1.13업뎃)

by 비앤피 2022. 1. 13.
728x90
반응형
SMALL

목차

 

홈페이지

인텔리안테크 홈페이지

 

Intellian Home

Intellian is a leading global technology and solutions provider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satellite tv, empowering connectivity for the maritime, government, military, energy, cruise and enterprise sectors

www.intelliantech.com

 

기업소개

위성통신 서비스는 유선 통신망이나 지상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하여 전달하던 기존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통신용 인공위성과 위성통신 안테나와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나 사용자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서비스를 말합니다. 

위성통신은 육상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에 비해 서비스 지역이 넓고 동시에 많은 수신자에게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형지물에 관계 없이 고른 통신을 할 수 있고, 여러 지구국에 동시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재해가 발생하는 지역에도 통신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지역의 광역성과 통신설비 구축 시간 단축 및 구축 비용 절감 등의 다양한 이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위성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상파가 미치지 않은 바다의 경우 e-Navigation 등 해상용 기기들이 요구하는 대용량의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위성통신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통신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안정적인 위성통신 안테나는 선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장치라고 할 것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저궤도 군집위성을 활용한 저궤도 및 중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한 통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빠른 속도를 기반으로 기존의 지상통신망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 뿐 아니라 이미 지상통신망이 갖추어진 곳에서도 새로운 통신 수단으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안테나를 개발하여 시장에 제공하고 있으며, 제품별로는 위성 통신용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안테나 제품(C, Ku, Ka-Band 주파수 사용), FBB(Fleet Broadband) 안테나 제품(L-Band 주파수 사용),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제품(TVRO), 지상용 송수신안테나(Flyaway),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게이트웨이(Gateway) 등의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확보하고 있는 위성통신 안테나의 주요 고객으로는 Inmarsat, Marlink, Speed Cast, RigNet, KT sat, SK telink, SES, Iridium, OneWeb 등의 위성통신사가 있으며, End User는 Maersk, CMA CGM, Hapag-Lloyd 등의 대형 해운사, Carnival, Royal Caribbean 등의 크루즈 선사 등이있습니다. 또한 영역인 위성 방송 수신안테나는 전세계에 있는 해상용 전자 장비 판매 및 설치 업체를 중심으로 딜러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전 세계60여 개국에 자체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으며, 550개 이상의 Dealer 및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제품의 적용 영역을 현재의 해상용에서 육상용,항공용 및 국방 관련(방위산업)사업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 매출실적

▲맨위로▲

주주에 관한 사항

▲맨위로▲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1098억원, 2019년 1180억원, 2020년 1101억원, 2021년 1,2,3분기 89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3.6%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312억원, 2021년 1분기 224억원, 2분기 304억원, 3분기 370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83억원, 2019년 71억원, 2020년 32억원, 2021년 1,2,3분기 -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32억원, 2021년 1분기 -23억원, 2분기 -8억원, 3분기 -2억원입니다.

▲맨위로▲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1236억원, 2019년 1373억원, 2020년 1528억원, 2021년 1,2,3분기 2395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 2018년 550억원, 2019년 590억원, 2020년 761억원, 2021년 1,2,3분기 816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 2018년 687억원, 2019년 784억원, 2020년 767억원, 2021년 1,2,3분기 1578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맨위로▲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07억원, 2019년 191억원, 2020년 117억원, 2021년 1,2,3분기 -103억원으로 2020년까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96억원, 2019년 -120억원, 2020년 -280억원, 2021년 1,2,3분기 -628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08억원, 2019년 20억원, 2020년 59억원, 2021년 1,2,3분기 794억원으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맨위로▲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1.33로 평균(1)보다 높아 시장민감도가 높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44억원, 2019년 107억원, 2020년 143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2021년은 14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63억원, 2019년 84억원, 2020년 -26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2021년은 -28억원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49%, 2017년 약 44%, 2018년 약 43%, 2019년 약 47%, 2020년 약 47%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9%, 2017년 약 8%, 2018년 약 7%, 2019년 약 6%, 2020년 약 2%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13%, 2017년 약 5%, 2018년 약 11%, 2019년 약 9%, 2020년 약 0.74%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8%, 2017년 약 3%, 2018년 약 6%, 2019년 약 5%, 2020년 약 0.4%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DPS(Dividend Per Share의 약자, 총배당금을 총주식발생수로 나눈 것, 한 주당 얼만큼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DPS가 높을 수록 배당금이 많은 것임) : 2016년  95원, 2017년 95원, 2018년 95원, 2019년 95원, 2020년 95원으로 전년동기 동결입니다.

현금배당수익률(최근1년간 배당금 합계를 전일 보통주 주가로 나눈값) : 2016년 0.61배, 2017년 0.69배, 2018년 0.75배, 2019년 0.28배, 2020년 0.19배으로 전년동기 감소하였습니다.

현금배당성향(기업이 버는 돈에 비하여 배당을 지급하는 백분율, 총배당금/당기순이익/100) : 2016년 11%, 2017년 20%, 2018년 9%, 2019년 10%, 2020년 126%으로 전년동기 증가하였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1236억원, 2019년 약 1373억원, 2020년 약 1528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95%, 2019년 약 0.9%, 2020년 약 0.76%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324억원, 2019년 약 261억원, 2020년 약 26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3%, 2019년 약 4%, 2020년 약 4%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206억원, 2019년 약 201억원, 2020년 약 284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5%, 2019년 약 5%, 2020년 약 4%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89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80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25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144일로 현금운영입니다.

▲맨위로▲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80%, 2019년 약 75%, 2020년 약 99%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267%, 2019년 약 202%, 2020년 약 90%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1896%, 2019년 약 2075%, 2020년 약 2062%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맨위로▲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110,000원입니다.

▲맨위로▲

매매포인트

인텔리안테크의 주가는 20년 11월 반등하여 21년 1월 최고 95,800원을 찍고 조정을 받았습니다.

매수적정가는 70,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2년 1월 13일)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인텔리안테크 89,500원 80,241원 80,910원 80,964원

▲맨위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