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유가증권시장

YG PLUS 주가전망 (037270) : 광고, 엔터테인먼트, 음반 관련주(22.1.7업뎃)

by 비앤피 2022. 1. 7.
728x90
반응형
SMALL

목차

 

홈페이지

YG PLUS 홈페이지

 

YG PLUS

YG플러스는 2014년 설립이래, 아티스트의 IP를 기반으로 음악, MD, 광고 등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유통합니다.

www.ygplus.com

 

기업소개

당사의 주요사업은 음악 플랫폼 운영 대행 및 음원/음반 투자 유통, MD제조 및 유통판매업, 광고 대행업이며 종속회사를 통해 골프 매니지먼트, 모델 매니지먼트, 금융투자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결 매출은 MD 등을 제조ㆍ판매하는 상제품매출과 광고물의 제작 등을 수행하는 광고사업매출, 음원/음반 유통 및 음악플랫폼을 운영대행하는 음악서비스매출, 전속 매니지먼트와 노하우를 이용한 용역매출로 구분하고 있으며, 2021년 3분기 매출액 및 매출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ㆍ제품매출에는 당사 및 연결회사인 신, ㈜YG스포츠에서 제조ㆍ판매하는 상품 및제품의 매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 상품, 제품 매출로는 아티스트 및 크렁크(캐릭터) 관련 MD 매출, 신, ㈜YG스포츠의 골프 관련 제품 매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 및 연결회사는 별도의 제품 생산시설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제품 제작은 외주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광고사업매출은 당사의 다양한 브랜드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는 사업 매출이 포함됩니다. 광고제작은 광고주의 광고를 각 매체에 게재하기 위해 해당 매체별로 광고물을제작하는 것이며, 연결회사는 광고물 제작에 사용된 원가에 일정 수수료를 감안한 금액을 광고주로부터 수령하며, 이를 (제작)매출로 인식하게 됩니다. 광고 매출은 개별 계약으로 이루어지는 건으로 별도의 가격변동 추이를 기재하기는 어렵습니다.

음악서비스 매출은 당사 및 당사외 아티스트의 음원/음반 유통 매출과 네이버의 음악플랫폼 운영대행매출입니다. 음악플랫폼은 해당 플랫폼에 음원콘텐츠를 독점 공급하고 공동으로 운영, 관리하는데 대한 사업수익배분 매출이며, 음원/음반 유통 매출은 아티스트의 음원/음반 유통에 따른 수수료 수익입니다.

용역매출에는 당사 및 연결회사인 신, ㈜YG스포츠, ㈜케이플러스홀딩스 등의 매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용역매출의 주요매출은 신, ㈜YG스포츠의 KPGA, KLPGA 프로대회 및 기업 골프 행사 대행, 신, ㈜그린웍스의 골프장 부킹서비스 매출, ㈜케이플러스홀딩스의 모델 매니지먼트, 서울패션위크, 국내외 유명브랜드 패션쇼 및 이벤트 대행 그리고 모델아카데미 매출 등입니다.

***매출실적

▲맨위로▲

주주에 관한 사항

▲맨위로▲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936억원, 2019년 1136억원, 2020년 1071억원, 2021년 1,2,3분기 11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52.3%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334억원, 2021년 1분기 266억원, 2분기 412억원, 3분기 446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17억원, 2019년 33억원, 2020년 14억원, 2021년 1,2,3분기 5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703.4%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7억원, 2021년 1분기 -3억원, 2분기 32억원, 3분기 27억원입니다.

▲맨위로▲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1468억원, 2019년 1567억원, 2020년 1510억원, 2021년 1,2,3분기 2078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부채 2018년 313억원, 2019년 449억원, 2020년 468억원, 2021년 1,2,3분기 701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본 2018년 1155억원, 2019년 1118억원, 2020년 1041억원, 2021년 1,2,3분기 1377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맨위로▲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91억원, 2019년 83억원, 2020년 -75억원, 2021년 1,2,3분기 84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과 2021년 3분기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71억원, 2019년 -48억원, 2020년 82억원, 2021년 1,2,3분기 -220억원으로 2020년의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6억원, 2019년 -44억원, 2020년 44억원, 2021년 1,2,3분기 156억원으로 2019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018년과 2019년과 2020년 3분기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맨위로▲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1.74로 평균(1)보다 높아 시장민감도가 높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5억원, 2019년 10억원, 2020년 9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86억원, 2019년 73억원, 2020년 -84억원으로 2018년과 2019년의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33%, 2017년 약 32%, 2018년 약 30%, 2019년 약 24%, 2020년 약 26%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9%, 2017년 약 -9%, 2018년 약 1%, 2019년 약 2%, 2020년 약 1%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4%, 2017년 약 -8%, 2018년 약 -0.15%, 2019년 약 -3%, 2020년 약 -6%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4%, 2017년 약 -7%, 2018년 약 -1%, 2019년 약 -2%, 2020년 약 -4%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1467억원, 2019년 약 1566억원, 2020년 약 150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66%, 2019년 약 0.75%, 2020년 약 0.7%로 총자산회전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89억원, 2019년 약 107억원, 2020년 약 118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2%, 2019년 약 11%, 2020년 약 9%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73억원, 2019년 약 74억원, 2020년 약 50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13%, 2019년 약 15%, 2020년 약 17%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38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21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47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12일로 현금운영입니다.

▲맨위로▲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27%, 2019년 약 40%, 2020년 약 44%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154%, 2019년 약 100%, 2020년 약 98%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낮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215%, 2019년 약 204%, 2020년 약 193%로 감소하고 있고, 유보율이 낮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지 않습니다.

  ▲맨위로▲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13,000원입니다.

▲맨위로▲

매매포인트

YG PLUS의 주가는 21년 7월에 급등하여 21년 11월에 최고 10,950을 찍고 조정을 받았습니다. 

매수적정가는 7500원이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월 7일)

종목명 현재가 개인 외국인 기관
YG PLUS 7,370원 8,900원 8,629원 8,582원

▲맨위로▲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