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홈페이지
Medical Laser - Cosmetic Lasers - Aesthetic Laser Equipment from jeisys
www.jeisys.com
기업소개
당사는 각국의 인허가 규정에 따라 주요 Device의 MFDS, FDA, CE, MDSAP 등의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빠르게 신기술을 적용하는 기술적 유연성과 안정성, 우수한 임상 효과와 더불어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서 피부미용시장에서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국제학회지(SCI급)에 논문을 등재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등, 경쟁력과 객관성을 기반으로 한 자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본적인 제품 생산 방식은 연구소에서 제품의 개발을 진행하고, 검증완료 후에 구매 부서에서 제품의 설계도와 필요 부품을 구매하여 생산 부서로 전달하며, 조달된 부품과 설계도에 준하여 제품을 생산한 뒤 최종 품질관리 부서에서 검사를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을 완료합니다. 업무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영업의 경우 직접판매와 대리점을 통한 판매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소모품의 경우는 당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인 ‘제이시스몰’(mall.jeisys.com)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일본, 중국 법인의 경우는 각 법인이 자체적으로 영업 인력들을 가지고 있으며, 직접 병원에 방문하여 판매하는 직판과, 의료기기판매업 허가를 가지고 있는 대리점을 통하여 의사에게 판매하는 형식으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 해외 50여개국에 대하여 아시아, 중동, 유럽, 미주로 대륙을 나누어서 국가별 판매전략을 수립하여 영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판매 계약을 맺은 대리점과 딜러 등을 이용한 판매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사 해외 영업사원의 방문을 통해 신규 바이어를 발굴하거나, 현지 의사들을 초청한 단독 로컬 워크샵 행사 등을 지원하여 Device의 기 이론, 기술 및 임상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지 대리점을 통하여 Device를 구매할 수 있도록 영업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온라인 웹 세미나인 ‘웨비나(Webinar)’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세계 여러 유저들을 위하여 의료기기 사용법 및 임상 사례 등을 공유하며 제품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향후 트렌드의 변화 및 소비자의 니즈에 맞추어 각 제품군 별 주력 Device 및 신규 소모품을 당사가 보유중인 기술력 및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서 업그레이드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이는 앞으로 매출 증대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주요제품 매출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285억원, 2019년 368억원, 2020년 508억원, 2021년 1,2,3분기 58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66%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153억원, 2021년 1분기 183억원, 2분기 200억원, 3분기 206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21억원, 2019년 27억원, 2020년 114억원, 2021년 1,2,3분기 16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는 전년동기대비 86.1%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4분기 24억원, 2021년 1분기 47억원, 2분기 62억원, 3분기 61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210억원, 2019년 278억원, 2020년 392억원, 2021년 1,2,3분기 585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310억원, 2019년 369억원, 2020년 222억원, 2021년 1,2,3분기 231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101억원, 2019년 -90억원, 2020년 170억원, 2021년 1,2,3분기 354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8억원, 2019년 11억원, 2020년 161억원, 2021년 1,2,3분기 131억원으로 2019년부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4억원, 2019년 -11억원, 2020년 -34억원, 2021년 1,2,3분기 66억원으로 2020년까지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7억원, 2019년 37억원, 2020년 -7억원, 2021년 1,2,3분기 -89억원으로 2018년과 2020년과 2021년 3분기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019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75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14억원, 2019년 6억원, 2020년 24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2021년은 21억원으로 추정됩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23억원, 2019년 5억원, 2020년 137억원으로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2021년은 182억원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44%, 2017년 약 43%, 2018년 약 45%, 2019년 약 63%, 2020년 약 69%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1%, 2017년 약 -9%, 2018년 약 1%, 2019년 약 7%, 2020년 약 22%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0.16%, 2017년 약 -31%, 2018년 약 1%, 2020년 약 190%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높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0.08%, 2017년 약 -13%, 2018년 약 0.4%, 2020년 약 22%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높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287억원, 2019년 약 278억원, 2020년 약 39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98%, 2020년 약 1.52%로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68억원, 2019년 약 47억원, 2020년 약 33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4%, 2020년 약 12%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72억원, 2019년 약 76억원, 2020년 약 57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4%, 2020년 약 7%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29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48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8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68일로 현금운영이 안정적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113%, 2019년 약 -407%, 2020년 약 130%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높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이지 않습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83%, 2019년 약 51%, 2020년 약 174%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403%, 2019년 약 -547%, 2020년 약 447%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낮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지 않습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주가(ROE x EPS) = 34.65x 150원으로, 적정주가의 가격은 5,100원으로 평가됩니다.
2021년 기대되는 적정시총(ROE x 영업이익) = 34.65x 230억원으로, 그 합산은 7969억원입니다. 적정주가 대비 약 10% 저평가입니다.
차트 및 총평
제이시스메디칼의 2021년 영업이익은 23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현재(21. 12. 7) 시가총액은 억원으로 멀티플 27 입니다.
목표주가는 12,300원입니다.
매매포인트
제이시스메디칼의 주가는 21년 4월에 급등하였고, 이후 증가하여 최고 21년 8월 9,300원을 찍고 조정을 받다가 급등하였습니다.
매수적정가는 6,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2월 7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제이시스메디칼 | 8710원 | 7238원 | 7180원 | 6590원 |
'주식 > 코스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오플로우 주가전망 (294090) : 의료기기 관련주 (0) | 2021.12.09 |
---|---|
클래시스 주가전망 (214150) : 의료기기, 화장품 관련주 (1) | 2021.12.09 |
루트로닉 주가전망 (085370) : 의료기기 관련주 (0) | 2021.12.06 |
신성델타테크 주가전망 (065350) : 2차전지, 폐배터리 관련주 (0) | 2021.12.04 |
위세아이텍 주가전망 (065370) : 모바일솔루션, 지능형로봇, 인공지능 관련주 (0) | 2021.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