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양전기공업 주가전망 (108380) : 철도,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조선기자재 관련주
목차 |
홈페이지
대양전기공업
www.daeyang.co.kr
기업소개
당사의 사업은 다음과 같이 사업부문별, 제품별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조선산업, 방위산업, 철도산업, 자동차산업으로 크게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품별로는 조명, 전자시스템, 전기시스템, 수중로봇, 압력센서 등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또한 종속회사인 한국특수전지(주)는 방위산업 분야의 매출이 100%를 차지함으로써 각종 축전지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현황
(1) 조선산업
조선산업은 컨테이너선, 벌크선, 가스운반선, 오일운반선, 특수선, 여객선 등의 선박을 건조하는 산업으로,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종합산업이며, 높은 기술 수준을 필요로 하며 대형건조 설비를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한 산업입니다. 또한, 건조공정이 매우 다양하고 공정 자동화도 한계가 있어 우수한 인적자원이 많이 요구되어 고용 창출 효과가 매우 높습니다. 조선산업에서 당사의 주력매출 제품은 선박용 조명입니다. 선박용 조명은 당사의 높은 기술력과 시장 선도기업으로써의 선점효과를 통해 43년의 오랜 업력을 통해 구축된 고객과의 신뢰, 다양한 종류의 제품군 등 경쟁업체 대비 경쟁우위요소를 바탕으로 국내 선박용 조명 분야에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 경쟁업체 중 기업공개가 된 회사가 없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시장점유율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없습니다.
(2) 방위산업
※ 종속회사인 한국특수전지(주)는 100% 방산업체로, 방산 분야는 지배회사와 종속회사가 공통적으로 영위하는 사업입니다.
방위산업은 민수산업과는 달리 고도의 기술수준을 필요로 하고, 생산물량에 비해 많은 연구개발비용과 큰 설비투자가 소요되며, 생산종료 후에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생산라인을 유지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또한 국내의 방산제품은 수입의존도가 높아 자주국방 및 국방예산 절감 등을 위한 방산제품의 국산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당사 및 당사의 종속회사가 방산분야에 공급하는 제품은 함내외 통신시스템을 비롯한 전자시스템, 배전반류의 전기시스템, 무인잠수정, 잠수함용 연축전지 등입니다. 방위산업을 영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방위산업체로 지정되는 것과 기존의 공급실적 역시 방위산업에서의 비교우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방위산업의 수주는 연구개발이 포함되는 프로젝트가 많기 때문에 방산제품의 연구 및 개발과 관련한 핵심인력의 보유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당사는 1990년 11월에 방위산업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까지 방위산업체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철도산업
철도차량용 전기제품(배전반)은 국내 철도산업 확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수주확대가 될 경우 국내 기업을 통한 매출 확대가 가능한 분야입니다. 철도차량의 수요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회간접자본 투자계획에 의하여 결정되고, 철도차량은 중소 규모의 기업들이 많아 치열한 경쟁구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단가 경쟁력에 있어 열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4) 자동차산업
자동차산업은 당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신규진출사업으로 현재는 전체 매출규모에서 가장 적은 실적을 나타내고 있으나, 향후 시장규모, 성장률, 성장잠재력이 가장 큰 사업분야입니다. 주요제품으로 ESC용 압력센서, 수소차 수소탱크용 압력센서, 수소차 스택용 압력센서가 있으며, ESC용 압력센서의 시장점유율은 상당한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수소차용 압력센서는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신규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므로 자동차산업 뿐만 아니라 육상시장의 압력센서 전문회사로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주요 제품 현황
***매출실적
주주에 관한 사항
포괄손익계산서
매출액 : 2018년 1229억원, 2019년 1769억원, 2020년 1892억원으로 증가, 2021년 1,2분기 68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는 전년동기대비 -19.3%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469억원, 4분기 576억원, 2021년 1분기 325억원, 2분기 358억원입니다.
영업이익 : 2018년 95억원, 2019년 149억원, 2020년 163억원으로 증가, 2021년 1,2분기 5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2분기는 전년동기대비 -26.4%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 분기별로 보면 3분기 41억원, 4분기 50억원, 2021년 1분기 29억원, 2분기 24억원입니다.
재무상태표
자산은 2018년 2541억원, 2019년 2604억원, 2020년 2540억원, 2021년 1,2분기 2709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부채는 2018년 586억원, 2019년 524억원, 2020년 349억원, 2021년 1,2분기 489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본은 2018년 1955억원, 2019년 2080억원, 2020년 2190억원, 2021년 1,2분기 2220억원으로 증가 하였습니다.
자산의 총계는 부채가 자본의 비율보다 낮아 재정건전성이 안정적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0억원, 2019년 53억원, 2020년 -4억원, 2021년 1,2분기 185억원으로 2019년과 2021년 2분기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 2018년 -131억원, 2019년 -54억원, 2020년 -119억원, 2021년 1,2분기 -90억원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원활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 2018년 -2억원, 2019년 -2억원, 2020년 -4억원, 2021년 1,2분기 1억원으로 2018년~2020년의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021년 2분기의 재무활무현금흐름은 플러스입니다.
- 참고로...재무활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아래를 참고하세요
- 1) 플러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주식 또는 주식 발행, 채권자 또는 은행에서 채무 차입, 투자자가 매입하는 부채 인 채권 발행
- 2) 마이너스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재무 활동 :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부채 상환
종목분석
시세 및 주주현황
52주베타*(시장민감도)는 0.86로 평균(1)보다 낮아 시장민감도가 낮습니다.
*베타계수는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 변동에 대한 개별 자산의 수익률 민감도를 나나태는 지표입니다. 즉, 이 지수가 높으면 시장의 움직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이라고 여기면 됩니다.(예를 들어 베타가 1.5이면, 시장이 1% 상승 시 1.5%상승하고, 베타가 0.5이면 시장 1% 상승 시 0.5%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의 경우도 같이 적용됩니다.)
CAPEX(Capital expenditures,자본적 지출,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말함) : 2018년 63억원, 2019년 27억원, 2020년 39억원으로 CAPEX가 좋습니다.
FCF(미래현금흐름) : 2018년 -83억원, 2019년 26억원, 2020년 -26억원으로 2019년의 미래현금흐름이 좋습니다.
매출총이익률 : 2016년 약 18%, 2017년 약 19%, 2018년 약 15%, 2019년 약 14%, 2020년 약 14%입니다.
영업이익률 : 2016년 약 10%, 2017년 약 10%, 2018년 약7 %, 2019년 약 8%, 2020년 약 8%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순이익율, 주주의 관점) : 2016년 약 10%, 2017년 약 6%, 2018년 약 6%, 2019년 약 6%, 2020년 약 6%이고, 자기자본순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율, 경영자의 관점) : 2016년 약 7%, 2017년 약 5%, 2018년 약 5%, 2019년 약 4%, 2020년 약 5%이고, 총자산이익율은 이상율(10%)보다 낮습니다.
DPS(Dividend Per Share의 약자, 총배당금을 총주식발생수로 나눈 것, 한 주당 얼만큼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 DPS가 높을 수록 배당금이 많은 것임) : 2019년 200원, 2020년 200원입니다.
현금배당수익률(최근1년간 배당금 합계를 전일 보통주 주가로 나눈값) : 2019년 1.44배, 2020년 1.29배으로 전년동기 감소하였습니다.
현금배당성향(기업이 버는 돈에 비하여 배당을 지급하는 백분율, 총배당금/당기순이익/100) : 2019년 15%, 2020년 13%으로 전년동기 감소하였습니다.
총자산회전율 : 2018년 약 2541억원, 2019년 약 2604억원, 2020년 약 2539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0.49%, 2019년 약 0.69%, 2020년 약 0.74%로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매출채권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152억원, 2019년 약 111억원, 2020년 약 181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9%, 2019년 약 13%, 2020년 약 12%로 안정적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높을 수록 좋습니다) : 2018년 약 225억원, 2019년 약 308억원, 2020년 약 233억원이고, 회전율은 2018년 약 7%, 2019년 약 6%, 2020년 약 6%로 안정적입니다.
**매출채권회전일수(=돈을 받는 순환일 수,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28일, 재고자산회전일수(=재고자산 빠지는 일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52일, 매입채무회전일수(=돈을 늦게 줘도 되는 일 수,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약 15일이고, Cash Cycle(현금회전율, 낮을 수록 좋습니다) 약 65일입니다.
기업실적분석
부채비율 : 2018년 약 29%, 2019년 약 25%, 2020년 약 15%로 감소하고 있으며, 표준(100%)보다 낮아 부채비율이 안정적입니다.
당좌비율 : 2018년 약 224%, 2019년 약 246%, 2020년 약 328%로 증가하고 있으며, 표준보다 높아 당좌비율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 : 2018년 약 3836%, 2019년 약 4094%, 2020년 약 4344%로 증가하고 있고, 유보율이 높아 사내 유동자산이 좋습니다.
차트 및 총평
목표주가는 20,000원입니다.
매매포인트
대양전기공업의 주가는 20년 10월에 급등하였고, 이후 21년 5월에 최고 22,700원을 찍고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매수적정가는 16,000원초반 입니다.
추정평균단가(21년 10월 11일)
종목명 | 현재가 | 개인 | 외국인 | 기관 |
대양전기공업 | 16,250원 | 18,173원 | 18,085원 | 17,643원 |